1. 현관
- 집의 첫인상, 정체성
- 정리정돈하고 물건 쌓아두지 말기(기능적으로 꼭 필요한 것은 ok)
- 현관 바닥도 잘 청소하기
- 거울은 둥근거울(안정감)로 상반신 정도 보이는 크기.
- 현관으로 들어와 섰을때 왼쪽 거울은 재물운 오른쪽 거울은 명예운
- 현관에서 바로 마주보는 거울은 좋지않음.
2. 거실
- 거실은 밝아야 한다. 다만 차가운 백열등, 형광등 보다는 약간 붉은 계역의 주백색 등이 좋음.
- 소품을 너무 많이 두지 않기. 단순한 것이 좋으며 지나치게 다양하면 건강 악화. 여백을 두자
- 거실은 가구가 적고 단순할수록 기의 흐름이 좋다.
- 거실에 놓아두는 높은 키의 스탠드는 재물운(다만 주인의 키를 넘으면 안됨)
- 소파에 앉았을 때 보이는 벽면에 중심이 되는 그림을 두기.
- 소파는 창을 바라보거나 벽을 등지고 있어야 한다.
- 나쁜 그림은 추상적x, 기하학적x, 차가운느낌 x
- 좋은 그림은 밝고 채도 높음, 풍경화, 과일그림 ex)해바라기 그림.
- 다만 좋은 그림이나 소품도 너무 과하게 여기저기 두면 좋지 않음.
- 그림은 유리액자 피하자.
- 나쁜 소품 : 조화, 드라이플라워, 뾰족한 선인장, 벽을 타는 식물, 뿌리가 드러난 식물
- 나쁜 소품2 : 돌로 된 가구, 유리테이블
- 좋은 소품 : 잎이 뾰족하지 않고 둥근 식물(금전수, 고무나무)
- 화분도 주인의 키를 넘으면 안됨.
- 주방과 거실이 일직선으로 이어져 있다면 기를 차단한다는 의미로 식물 배치하면 좋다.
- 집안에 들어와서 대각선 안쪽 코너는 럭키존(사랑과 재물이 모이는 공간)에는 소파 두기
- 다목적 테이블 거실에 두는 것 양호
3. 부엌(주방)
- 가족의 건강과 재물을 관장
- 청결해야함
- 포크, 수저, 나이프 등 뾰족한 것은 건조 후에는 서랍 안에 수납
- 싱크대(물)와 가스불의 기운은 떨어뜨려 주는게 좋음(물과 불은 상극)
- 식탁은 목재로 사용하면 물과 불과 나무의 조화를 줌
- 식탁이 없다면 조리에 방해되지 않는 정도의 식물을 키우는 것도 좋음
- 그릇은 없어두지 말고 하늘을 향하도록하고 사기그릇, 유리그릇에는 구슬이나 작은 동전을 넣어두면 좋음.
- 매트나 러그를 깔아주면 기운을 상승시킬수 있음.
- 거실과 주방에 구분이 없다면 커튼을 치거나 작은 가구를 이용해 차단하는 것이 좋음.
- 도자기처럼 흙으로 만든 물건(낮은칸)과 유리처럼 물 성격(높은칸에)을 가진 물건은 같은 칸에 수납하지 말자.
- 프라이팬을 싱크대 벽에 걸면 저축운 상승.
- 냄비류는 물의기운이 있으므로 싱크대 아래 수납
- 조미료는 도자기 제품이 좋음. 특히 속이 들여다 보이면 돈이 모이지 않게 한다. 플라스틱 조미료통 사용 금지.
- 조미료는 가급적 수납장에 넣는 것이 좋다.
4. 침실
- 침대가 중요. 침실의 주인공은 침대.
- 침대 머리맡을 두기 좋은 위치 : 창문을 머리쪽에 두고 발은 방안쪽. 머리는 서쪽 피하기.
- 다만 머리맡의 창문은 커튼 쳐주기. 감기 예방
- 침대는 약간이라도 벽에서 떨어뜨려 주자. ( 10~20cm 정도)
- 침대 밑에 공간 있는 것이 좋음. 수납형으로 침대 바닥쪽에 뭔가 두는 것 나쁨.
- 조명은 어두운 것도 나쁘지 않음. (주백색 전등 사용)
- 침실에 나쁜 소품 : 가족사진, 꽃 사진, 큰나무 그림, 밝은 톤 그림, 화분, 꽃무니 침구
- 침구는 노란색, 미색 계열이 좋음. 꽃무늬 피하기. 무늬는 강렬하기 않은 것으로
- 침대 맡은 편은 가급적 비워두기. (수납장 x, 붙박이장 x, 화장대 x)
- 가전기기는 가급적 두지 않기
- 전기매트는 자기전에 뜨겁게 달구고 잘때는 끄자.
기타
- 전자기기가 너무 밀착되면 좋지 않음. tv와 컴퓨터, 냉장고와 가스레인지 혹은 전자레인지
- 거울은 원형이나 팔각이 좋음.
- 이불은 압축하는 과정에서 금전운이 사라진다. 압축팩 보관 삼가자.
'부동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매도 거래시 등기권리증을 줘야하는건 아니지? (0) | 2025.03.19 |
---|---|
외도민 준비하기(동작구) (0) | 2024.07.11 |
신축빌라 분양 중개수수료? (0) | 2024.01.09 |
신축빌라 하자보증금 (1) | 2024.01.08 |
신용기록 (0) | 2022.12.27 |